지난 한주는 새 정부의 내각 구성을 위한 장관후보자들의 청문회가 있었다. 그중 환경부장관 청문회장에서 생각하지도 않은 새만금 관련 질문이 나와 하던 일을 멈추고 질의응답을 시청하였다.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인 안호영 의원의 질의 내용은 대통령이 대선공약으로 내세운 새만금 해수유통, 새만금 조력발전소 검토, 새만금 RE100 국가산단에 대한 후보자의 생각과 실질적인 해결복안을 묻는 질의였다. 전북도민들은 이제 재탕, 삼탕 새만금 공약에 피로감을 느낀다. 역대 정권에서 표동냥의 전략으로 많이도 우려 먹었으니 말이다.
후보자는 새만금의 해수유통을 확대하고 조력발전소를 적극 검토해 수질개선과 에너지 생산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상투적인 답변을 하였다. 좀더 구체적인 로드맵을 가지고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하지 못한 것은 아쉽기만 하다. 90년대 초반에 조성된 시화호는 담수화이후 재앙수준의 급격한 수질악화로 죽음의 호수로 변하였으나 97년부터 부분 해수유통을 시작하여 완전 해수유통을 한 이후 수질이 급속도로 개선되고 해양생물의 복원과 주변관광지 개발로 문화공간으로 탈바꿈 하였으며 세계 최대규모의 조력발전소로 변신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세계적인 추세는 간척사업으로 담수화 했던 곳을 이제는 완전개방하여 해수유통을 하고 있고 역 간척사업으로 기존 방조제를 허물어 갯벌생태계를 복원하는 추세이다. 최근에도 서산 A·B지구 간척사업으로 조성된 부남호가 수질개선과 해양생태복원을 이유로 45년만에 방조제를 허물기로 하였고 금강하구뚝 또한 완전 해수유통을 위해 관계기관간의 협의가 이루어 지고 있다. 새만금 해수유통은 현재도 수질개선과 간척지 개발계획의 차질, 추가공사비용 문제, 농업용수 부족우려등 개발계획간의 충돌속에서 전면 해수유통 여부를 두고 치열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새만금 수질개선과 생태계 복원, 친환경적 내부개발을 위해 지역민들을 비롯한 환경단체에서 지속적으로 해수유통 완전개방을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새정부 들어 새만금의 청사진이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우선 6.3 대선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새만금 해수유통을 통해 생태계를 복원하고 사회적 합의를 통해 조력발전소 건설도 검토하겠다는 공약은 흡사 시화호를 벤치마킹 한듯 하였다. 함께 지난 7월 9일 윤준병의원의 새만금해수유통법 발의 내용을 보면 새만금호를 담수호가 아닌 해수호로 규정하고 관리권을 해수부장관에게 부여하고 해수유통은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로 법제화 하고 있다.
이제부터라도 무분별한 간척사업으로 인하여 훼손되었던 상태계를 복원하고 어업인의 소득증대와 새만금 공사이후 소외받던 지역민들에게 희망을 줄수 있는 미래지향적인 정책이 재정립되어 전북도민의 삶을 윤택하게 할수 있는 희망의 새만금으로 다시 태어나길 바랄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