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뉴스 오피니언 특별기고

황태일기고-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

서림신문 기자 입력 2015.10.29 20:38 수정 2015.10.29 08:33

황태일기고-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
ⓒ 디지털 부안일보
지난해 온 국민을 충격과 절망 속에 빠뜨린 세월호 사고와 최근 추자도에서 발생한 돌고래호 전복 사고. 이 둘 모두 돌아보고 싶지 않은 기억이다. 많은 이들이 이러한 사고에 대해 안타까움을 넘어 분노까지 표출하는 것은 우리 사회가 경제적으로는 선진국으로 가고 있다고 하나 우리는 아직도 위험 속에 노출된 채 살고 있다는 절망 때문이다. 우리 사회는 왜 이렇게 위험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우리 사회의 각 구성원들 간의 안전의식 편차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크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우리 사회에는 안전사고에 민감한 사람과 무감각한 사람들이 섞여 있을 수밖에 없고, 안전 불감증이 퍼져 있다는 것은 곧 후자의 사람들이 사회 전반의 분위기를 이끌어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선진국일수록 전자 즉 안전사고에 민감한 사람들이 시스템적으로 사회를 이끌어가는 구조가 강하다. 그 둘의 차이는 뭘까? 어릴 적 안전교육을 얼마나 내실화해서 받으면서 커왔는지 여부로 판가름할 수 있다. 사회안전 측면에서 선진국과 후진국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의 하나가 구성원들 안전의식 수준의 편차다. 선진국일수록 어릴 적 안전교육을 통해 구성원들간 안전의식 편차가 적게 나타나며, 그 수준 또한 높은 편이다. 이는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안전활동에 대해 높은 수용도로 나타난다. 반면 후진국들은 어릴 적 안전교육을 받지 못해 각자 체험과 습득을 통해 안전의식을 형성하게 되고, 이는 개인별로 큰 편차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 안전교육의 목표는 구성원들의 안전의식 편차를 줄이고, 그 수준을 전반적으로 상향시키는 것에 방점을 두어야 한다. 그리고 그 시작은 어릴 적 내실 있는 안전교육에서 비롯될 것이다. <안전보건공단 과장>


저작권자 부안서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