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정신
| | |
|
↑↑ 이 석 기
서림신문 대표 |
ⓒ 부안서림신문 | |
오는 4월 10일 치러지는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지난 28일부터 본격 선거운동이 시작되었지만 이렇다할 이변이 보이지 않음인지 조용한 분위기 속에서 치러지고 있다.
곳곳에 선거사무소 전체를 뒤덮을만한 걸게 그림이 눈에 띠고, 후보자들의 현수막이 나붙고, 선거벽보가 게시되고, 선거운동차량의 확성기장치에서 나오는 로고송이 대로변은 물론 골목골목에서 울려 퍼지면서 봄바람과 함께 선거의 계절이 왔음을 실감할 뿐이다.
이에 분위기를 타듯 군민들도 최근 삼삼오오 모이는 자리이면 단연 선거 이야기가 주제가 되고 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군산기 회현면과 대야면, 김제시와 부안군의 인구수 비교 분석 이야기에서부터 “여론조사 결과로 시작되는 선거이야기는 “여론조사로 볼 때 이미 끝난 선거다”는 결론을 내려버린다.
최근들어 필자를 만나는 사람들도 대부분 같은 이야기다. “이미 끝난 선거라서 별로 관심이 없다”는 것이 주된 이야기다.
필자는 이들에게 간곡히 당부하곤 한다.
“누가 될 것인가에 관심을 갖지말고 누가 되어야 할 것인가에 관심을 가져달라”고 말이다.
“누가 될 것인가?”는, 지역발전은 안중에도 없이 자신의 이득에만 눈이 어두워 당선자에게 줄서기에 급급한 사람들의 사심섞인 이야기 일수도 있다.
아마도 사심이 섞이지 않았다면 누가되든 남이 하는대로 따라가겠다는 무책임한 유권자 일수도 있다.
진정 이 나라와 이 고장을 걱정하고 사랑하는 사람들은 “누가 되어야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정당의 공천자이든 무소속 후보이든 상관없다.
진정 나라를 걱정하고 지역을 사랑하며 지역을 발전시킬 수 있는 사람에게 자신의 깨끗한 한표를 후회없이 던지는 것, 비록 그 후보가 낙선이 된다 하더라도 진정 그 표는 나라와 지역의 발전을 앞당기는 자랑스런 깨끗하고 귀중한 한표임에는 틀림이 없기 때문이다.
이 같이 진정 나라와 지역발전을 걱정하고, 진정한 일꾼을 선출하려는 유권자들이 많아질수록 그만큼 불법 탈법선거는 줄어들고 우리 고장의 번영도 약속되어 지는 것 아니겠는가.
본 등록에 앞서, 사실상 지난 예비후보 등록과 함께 시작된 선거운동에는 후보와 일면식도 없는 사람들이 후보 측근들의 세과시를 위한 꼭두각시놀음에 보조 출연자로 활동을 자처하고 있는 한심한 유권자들이 상당수에 이르고 있음을 모르는 이 없다.
뿐만아니라, 유권자의 귀중한 한표로 선택받기 위한 후보들간 정책대결 보다는 상대 정당을 깍아 내리고 헐뜯기와 당선 유력후보에 대한 공격이 도를 넘어서고 있음은 아직도 후보들이 우리 유권자들을 겁내지 않고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구시대적인 작태라 아니할 수 없다.
유권자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정책보다는 상대 헐뜯기로 시작된 선거는 게임도 치르기 전에 ‘선수퇴장’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는가 하면, 효과가 드러나질 않을때 돈을주고 표를 사는 금권선거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당선만 되면 된다는 후보들간 ‘자리다툼’이 진흙탕 선거로 번져 결국 유권자인 국민들만 고스란히 피해를 보게 되는 것이다.
적어도 부안군 유권자라면 ‘국회의원’ 보다는 ‘국회의원 자리’를 탐내는 후보는 아닌지, 부강한 나라 잘사는 지역 만들기에 온힘을 다해보려는 ‘국회의원’이 아닌 ‘금배지가 탐이나는 국회의원’ 후보는 아닌지 두눈과 귀를 열고 분석해 보려는 주인정신이 필요한 때이다.
또, 이 나라가 제대로 굴러갈 수 있도록 견제와 감시는 물론 국민을 위한 법률을 제정하는데 게을리 하지 않겠다는 신념과 각오보다는 지역의 대표로 행세하며 엄청난 봉급으로 백수(?)를 면해보려고 탐을 내는 ‘국회의원’ 후보는 아닌지 면밀히 검토해 보아야 한다.
이같이 주인정신으로 자신의 한표를 후회없이 던지는 유권자가 많을수록 우리가 살고있는 이 나라와 이 지역의 발전은 보장되어 있는 것 아니겠는가.
우리는 지금부터라도 학연 혈연 지연을 떨쳐버리고 진정 누가 지역발전을 앞당길 수 있는 인물인가를 면밀히 살펴 귀중한 한표를 행사하는 유권자의 자세를 갖도록 주위에 권유하는 앞선 유권자가 되었음 하는 바람이다.
이제부터라도 ‘누가 될 것인가?’ 보다는 ‘누가 되어야 할 것인가’에 관심을 갖고 선거에 임하는 것, 바로 ‘나’를 위한 것이다.